맨위로가기

2020 SKT 5GX JUMP 카트라이더 리그 시즌 2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20 SKT 5GX JUMP 카트라이더 리그 시즌 2는 2020년 8월 1일부터 11월 8일까지 진행된 카트라이더 e스포츠 대회이다. 팀전은 8강 풀리그 후 상위 5개 팀이 포스트시즌을 치르는 방식으로, 개인전은 32강, 16강 더블 엘리미네이션, 결승전은 80점 이상 획득 시 레이스가 종료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총 상금은 9,000만원으로, 팀전 우승은 한화생명 e스포츠, 개인전 우승은 이재혁이 차지했다. OGN에서 중계되었으며, 캐스터는 성승헌, 해설은 김대겸과 정준이 맡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20년 e스포츠 - 2020 SKT JUMP 카트라이더 리그 시즌 1
    2020 SKT JUMP 카트라이더 리그 시즌 1은 팀전에서 한화생명 e스포츠의 우승과 ROX 게이밍의 준우승, 개인전에서 문호준의 우승, 유창현의 준우승, 박인수의 3위 기록을 남긴 카트라이더 리그로, 넥슨 아레나에서 진행되어 STATV와 OGN에서 중계되었다.
  • 2020년 e스포츠 - 2020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코리아 스프링
    2020 LCK 스프링은 2월부터 4월까지 진행된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 리그로, T1이 Gen.G를 꺾고 우승했으며, 상위 4팀은 미드 시즌 컵에 진출, 시즌 MVP는 Bdd, 파이널 MVP는 Cuzz가 수상했다.
  • 카트라이더 리그 - 성승헌
    성승헌은 홍익대학교 경영학과를 졸업하고 아리랑 TV 조연출로 사회생활을 시작하여 iTV 게임 프로그램 진행으로 방송에 데뷔한 후 온게임넷 캐스터로 활동하며 이름을 알린 대한민국의 게임 캐스터이자 방송인이다.
  • 카트라이더 리그 - 김택환
    김택환은 카트라이더 프로게이머 출신으로 K-SWISS 팀배틀 챔피언십 3위 등의 경력을 가지고 있으며, 은퇴 후 아프리카TV와 유튜브에서 방송 활동을 하고 있다.
  • E스포츠에 관한 - 월드 사이버 게임즈 2001
    월드 사이버 게임즈 2001은 2001년에 개최된 e스포츠 대회이며, 스타크래프트: 브루드 워 등 여러 게임이 정식 종목으로 진행되었고, 임요환이 스타크래프트: 브루드 워 종목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 E스포츠에 관한 - 한규종
    한규종은 대한민국의 전직 스타크래프트, 스타크래프트 II 프로게이머이자 전 KT 롤스터 코치로, 선수 시절 KeSPA Cup 아마추어 입상 및 KPGA TOUR 3위 등의 경력이 있으며, 코치로서는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12-13에서 팀을 3위로 이끌었다.
2020 SKT 5GX JUMP 카트라이더 리그 시즌 2
리그 정보
리그 이름2020 SKT 5GX JUMP 카트라이더 리그 시즌 2
리그 시작일2020년 8월 22일
주최넥슨
주관OGN, SBA, CJ ENM, 서울특별시, XBOX
리그 종료일2020년 11월 8일
이전 시즌2020 SKT JUMP 카트라이더 리그 시즌 1
다음 시즌2021 신한은행 Hey Young 카트라이더 리그 시즌 1
개막전한화생명 e스포츠 VS 샌드박스 게이밍
총 상금9,000만원
후원사SK텔레콤
참가 정보
참가 팀8팀
참가 선수팀전 39명, 개인전 32명
우승 정보
리그 우승팀 : 한화생명 e스포츠
개인 : 이재혁
게임 정보
게임 버전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

2. 대회 정보

2020 SKT 5GX JUMP 카트라이더 리그 시즌 2는 카트라이더 리그의 2020년 두 번째 시즌이다. 총 상금은 9000만이며, 팀전과 개인전 상금은 다음과 같다.

팀전 상금
순위상금
우승4000만
준우승2000만
3위800만
4위500만
5~8위200만



개인전 상금
순위상금
우승500만
준우승300만
3위100만


2. 1. 일정

예선은 온라인으로, 본선과 포스트시즌, 결승전은 서울 OGN e스타디움에서 진행되었다. 예선 팀전에는 상위 32팀, 개인전에는 상위 128명이 맞붙었다. 본선 팀전(8강 풀리그)은 2020년 8월 22일부터 10월 14일까지, 본선 개인전은 8월 22일부터 9월 19일까지(32강/패자부활전), 9월 23일부터 10월 24일까지(16강/승자전/패자전/최종전) 열렸다. 포스트시즌은 2020년 10월 17일부터 11월 8일까지, 결승전은 11월 8일에 개최되었다.

2. 1. 1. 예선

예선전은 온라인으로 진행되며, 예선 팀전에는 상위 32팀, 개인전에는 상위 128명이 맞붙는다.

예선 종류진행 날짜
개인전2020년 8월 1일
팀전2020년 8월 2일


2. 1. 2. 본선


  • '''본선 팀전''' (서울 OGN e스타디움)
  • *: 2020년 8월 22일 ~ 10월 14일 : 8강 풀리그
  • '''본선 개인전''' (서울 OGN e스타디움)
  • *: 2020년 8월 22일 ~ 9월 19일 : 32강/패자부활전
  • *: 2020년 9월 23일 ~ 10월 24일 : 16강/승자전/패자전/최종전

2. 1. 3. 포스트시즌 및 결승전

포스트시즌은 2020년 10월 17일부터 11월 8일까지 서울 OGN e스타디움에서 진행되었다.[1] 결승전도 같은 장소에서 2020년 11월 8일에 개최되었다.[1]

2. 2. 진행 방식

팀전은 8강 풀리그를 거쳐 상위 5개 팀이 포스트시즌을 치른다.[1] 개인전은 32강과 16강을 더블 엘리미네이션 방식으로 진행하고, 결승전은 80점 이상을 획득하는 선수가 나오면 즉시 레이스가 종료되며, 이후 1, 2위 선수가 5판 3선승제로 2라운드를 진행한다.[1]

2. 2. 1. 팀전

8강 풀리그를 치른 후 상위 5개 팀이 포스트시즌을 치른다.[1]

2. 2. 2. 개인전

32강, 16강은 더블 엘리미네이션 방식으로 치러지며, 결승전은 80점 이상을 획득하는 선수가 나오는 즉시 레이스가 종료되고, 이후 1위와 2위를 기록한 선수가 5판 3선승제의 2라운드를 치른다.[1]

2. 3. 상금

총 상금은 9000만이다.

팀전 상금
순위상금
우승4000만
준우승2000만
3위800만
4위500만
5~8위200만



개인전 상금
순위상금
우승500만
준우승300만
3위100만


2. 4. 변경된 점


  • 포스트시즌에 와일드카드가 도입되었다.
  • 와일드카드 도입으로 4강 풀리그가 폐지되었다.
  • 포스트시즌 일정이 대거 개편되었다.

2. 5. 특이사항

장채민 선수는 위반 행위로 참가 자격을 박탈당했다.[1]

3. 참가 선수

팀전에는 8개 팀, 개인전에는 32명의 선수가 참가했다.

'''팀전'''

한화생명 e스포츠 외 5개 팀은 시드, 예선 선발되어 팀 지원 정책을 제공받는다. MOTO와 STARLIGHT는 예선 선발되었다.

'''개인전'''

전 시즌 개인전 1~3위까지 시드 선발되지만 문호준, 유창현이 출전하지 않아, 3위였던 박인수만 시드 선발되었다. 이외 31명의 선수는 예선 선발되었다.

3. 1. 팀전

한화생명 e스포츠 외 5개 팀은 시드, 예선 선발되어 팀 지원 정책을 제공받는다. MOTO와 STARLIGHT는 예선 선발되었다.

팀명선수비고
한화생명 e스포츠문호준, 최영훈, 박도현, 배성빈, 강석인시드 선발
성남 ROX이재혁, 한승철, 송용준, 신종민, 사상훈
아프리카 프릭스유영혁, 최윤서, 김기수, 홍승민, 이은택
샌드박스 게이밍박인수, 김승태, 박현수, 정승하
GC Busan E-STATS전대웅, 김지민, 임재원, 노준현, 유관영예선 선발
SGA e스포츠안혁진, 홍희권, 이현진, 장건, 노창현
STARLIGHT김정제, 유민선, 정유민, 최민석, 정승민[2]
MOTO이은서, 김현민, 박대한, 박민호, 김택진


3. 2. 개인전

전 시즌 개인전 1~3위까지 시드 선발되지만 문호준, 유창현이 출전하지 않아, 3위였던 박인수만 시드 선발되었다. 이외 31명의 선수는 예선 선발되었다.

그룹선수비고
A조전대웅, 김기수, 전진우, 최윤서, 송용준, 이은서, 김정제, 최영훈
B조박인수, 노준현, 유관영, 신종민, 한승철, 윤준혁[3], 임재원, 우성민
C조유영혁, 김지민, 김현민, 김주영, 박도현, 최민석, 최태원, 정승하
D조이재혁, 권승주, 정승민[4], 배성빈, 박현수, 김승래, 이정우, 정유민


4. 경기 결과

== 경기 결과 ==

팀전은 8강 풀리그와 포스트시즌으로 진행되었다. 8강 풀리그 결과 리브 샌드박스, 성남 ROX, 한화생명 e스포츠, E-STATS e스포츠, 아프리카 프릭스가 포스트시즌에 진출했다.[5] 포스트시즌은 와일드카드, 준플레이오프, 결승 진출전, 플레이오프, 결승전 순서로 진행되었다.

개인전은 32강, 16강, 결승전으로 진행되었다. 32강은 4인 1조의 조별 리그 방식으로 진행되어 각 조 1, 2위가 16강에 진출했다. 16강은 승자전, 패자전, 최종전을 거쳐 결승 진출자를 가렸다. 결승전은 1라운드와 2라운드로 진행되었다. 1라운드는 8명의 선수가 80점 이상을 획득할 때까지 레이스를 펼치는 방식이었고, 이재혁이 84점으로 1위를 차지했다. 박인수와 송용준은 55점으로 공동 2위를 기록하여 1라운드 리매치를 통해 2라운드 진출자를 결정했고, 송용준이 승리했다. 2라운드는 1대1 매치 방식이었고, 이재혁이 송용준을 꺾고 최종 우승을 차지했다.

4. 1. 팀전

팀전은 8강 풀리그와 포스트시즌으로 진행되었다. 8강 풀리그 결과 리브 샌드박스, 성남 ROX, 한화생명 e스포츠, E-STATS e스포츠, 아프리카 프릭스가 포스트시즌에 진출했다.[5] 포스트시즌은 와일드카드, 준플레이오프, 결승 진출전, 플레이오프, 결승전 순서로 진행되었다.

4. 1. 1. 8강 풀리그

순위팀명세트 득실트랙 득실비고
1리브 샌드박스61+10+28포스트시즌 진출
2성남 ROX61+9+22
3한화생명 e스포츠52+5+9
4E-STATS e스포츠43+2+5
5아프리카 프릭스43+2+5
6SGA e스포츠25-4-11탈락
7STARLIGHT16-10-21
8MOTO07-14-37



최종적으로 리브 샌드박스, 성남 ROX, 한화생명 e스포츠, E-STATS e스포츠, 아프리카 프릭스가 포스트시즌 진출을 확정지었다.[5]

4. 1. 2. 포스트시즌

최종적으로 리브 샌드박스(전 샌드박스 게이밍), 성남 ROX, 한화생명 e스포츠, E-STATS e스포츠, 아프리카 프릭스가 포스트시즌에 진출했다.[5]

  • '''와일드카드'''


팀명경기 결과스코어비고
GC Busan E-STATS탈락스피드 1 : 4
아이템 1 : 4
8강 풀리그 4위
아프리카 프릭스준PO 진출스피드 4 : 1
아이템 4 : 1
8강 풀리그 5위


  • '''준플레이오프'''


팀명경기 결과스코어비고
한화생명 e스포츠PO 진출스피드 4 : 2
아이템 2 : 4
에이스 결정전 (문호준)
8강 풀리그 3위
아프리카 프릭스탈락스피드 2 : 4
아이템 4 : 2
에이스 결정전 패 (김기수)
와일드카드 승리팀


  • '''결승 진출전'''


팀명경기 결과스코어비고
샌드박스 게이밍PO 진출스피드 1 : 4
아이템 3 : 4
8강 풀리그 1위
성남 ROX결승 진출스피드 4 : 1
아이템 4 : 3
8강 풀리그 2위


  • '''플레이오프'''


팀명경기 결과스코어비고
한화생명 e스포츠결승 진출스피드 0 : 4
아이템 4 : 3
에이스 결정전 (문호준)
준플레이오프 승리팀
샌드박스 게이밍탈락스피드 4 : 0
아이템 3 : 4
에이스 결정전 패 (박인수)
결승 진출전 패배팀


  • '''결승전'''


팀명경기 결과스코어비고
성남 ROX준우승스피드 1 : 4
아이템 2 : 4
결승 진출전 승리팀
한화생명 e스포츠우승스피드 4 : 1
아이템 4 : 2
플레이오프 승리팀


4. 2. 개인전

개인전은 32강, 16강, 결승전으로 진행되었다. 32강은 4인 1조의 조별 리그 방식으로 진행되어 각 조 1, 2위가 16강에 진출했다. 16강은 승자전, 패자전, 최종전을 거쳐 결승 진출자를 가렸다.

결승전은 1라운드와 2라운드로 진행되었다. 1라운드는 8명의 선수가 80점 이상을 획득할 때까지 레이스를 펼치는 방식이었고, 이재혁이 84점으로 1위를 차지했다. 박인수와 송용준은 55점으로 공동 2위를 기록하여 1라운드 리매치를 통해 2라운드 진출자를 결정했고, 송용준이 승리했다. 2라운드는 1대1 매치 방식이었고, 이재혁이 송용준을 꺾고 최종 우승을 차지했다.

4. 2. 1. 16강전

경기선수진출 여부선수진출 여부선수진출 여부선수진출 여부
승자전정승하결승유영혁최종최민석최종송용준최종
박인수결승이재혁결승노준현최종박현수결승
패자전김승래탈락최윤서최종김기수탈락한승철탈락
김지민최종최영훈최종우성민최종배성빈탈락
최종전송용준결승노준현탈락유영혁결승최민석탈락
최윤서탈락최영훈결승김지민결승우성민탈락


4. 2. 2. 결승전

'''1라운드'''

선수점수
이재혁84
박인수 & 송용준55
최영훈43
김지민40
정승하39
박현수27
유영혁20


  • '''1라운드 리매치'''


1라운드 리매치
대저택 은밀한 지하실송용준 승


  • '''2라운드'''


2라운드
아이스 아찔한 헬기점프이재혁 승
어비스 숨겨진 바닷길송용준 승
대저택 은밀한 지하실이재혁 승
카멜롯 펜드래건 캐슬이재혁 승


5. 대회 결과

;'''팀전'''



;'''개인전'''

6. 중계진

참조

[1] 웹인용 ::: Enjoy Drift! - 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 ::: http://kart.nexon.co[...] 2020-08-21
[2] 문서 개인전 D조 정승민 선수와는 동명이인임.
[3] 문서 카트라이더 운영진 검토에 따라 위반 행위가 적발된 장채민 선수가 참가 자격을 박탈 당하여 차순위인 윤준혁 선수가 참가 자격을 부여받았다.
[4] 문서 STARLIGHT 정승민 선수와는 동명이인임.
[5] 문서 승률이 동일한 팀은 세트 득실, 트랙 득실, 승자승 순서임. 모두 동률일 경우 팀명 가나다순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